Composing a song
on
연습도 잘 안되고 그렇다고 새로운 것들을 연습하자니 재미도 없고 힘들고 해서 곡을 써보기로 한다.
곡을 쓰는 일은 답답한 것에 적응하면 쉬워질 것 같다.
문제는 한방에 좋은 뭔가를 만들어내려고 하는 것에서 생겨난다.
한번도 자기 곡을 열심히 만들어 본 적이 없는데 좋은 곡이 단번에 만들어질 수 없다.
다른 이들의 곡을 너무 카피만 하다보면 스스로가 만드는 아이디어가 조잡하다 생각해서 금방 좌절하게 되는데, 이게 문제다.
잘 나가는 뮤지션들도 처음엔 어설픈 곡을 쓰지만 계속해서 공연하고 연주하면서 가다듬어간다.
스스로 만든 곡이라고 너무 홀대하고 같잖게 생각하면 정말 그런 수준으로 방치하게 된다.
곡을 쓰는데 많은 공부가 필요할 것 같지만, 많은 곡을 들어왔다면, 또 좋은 곡으로 만드려고 계속해서 갈고 다듬다보면 좋은 곡이 된다.
우리는 너무 카피하는 데 젖어 살아왔다. 어려운 곡 난해한 곡을 카피해서 같은 음색으로 연주하는데만 몰두했지 스스로 곡을 쓰는데는 무관심했다.
유명한 작가가 오랜 시간에 걸쳐 쓴 글을 읽고 그 글을 받아적는데 몰두 했지 내 생각을 우려내어 나만의 글을 쓰지 못한 것과 같다.
그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내가 그 유명 작가나 된 듯한 착각에 빠진다. 쉬운 곡 하나 쓸 줄 모르면서 말이다.
유명 작가의 문체나 어휘를 흉내내긴 하지만 정작 나 자신을 표현할 땐 유치원도 들어가지 않은 어린 아이의 글보다도 어눌하다.
물건을 잘 만드는 사람들을 보라. 이들은 기성품을 사려고 하지 않는다. 스스로 어떻게든 독특하게 만들어보려고 하지.
카피를 잘한다고 해서 아무도 박수치거나 감동받거나 하지 않는다. 그저 스스로 뿌듯할 뿐. 제 3자는 원본과 비교하려고만 한다. 카피의 단수가 올라가면 스스로가 카피한 곡과 원본을 비교하려고만 하지 그런 곡을 쓰려고 하지 않는다.
귀찮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들인 시간에 비해 결과도 썩 좋지 않다. 이 역시도 운동과 같다. 한해 두해해서 좋은 곡을 쓸 수 없는 거다.
한번 스캐치한 것도 정을 들여 갈고 다듬고 또 다듬다 보면 좋아진다.
자꾸 만들다 보면 나만의 요령도 생기고 쓸만한 template이 생겨서 작업하는 시간은 빨라 질 수 밖에 없다.
남의 곡을 카피하면 선물해 줄 수 없지만, 내가 쓴 곡은 자랑스럽게 줄 수 있다. 비록 혹평이 날아오더라도 상관없다. 음악으로 나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니까.
곡을 쓰는 일은 무엇보다도 자신감이 필요하다. 그리고 내 것을 사랑해주는 마음이 필요하다. 이 자체가 힐링이다.
여기까지는 흔한 얘기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곡을 써야하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나아가야 헛시간 쓰지 않는다. 기타 들고 아니면 건반 앞에 앉아서 아무말 대잔치 하면 끝이 없다. 시간만 들일 뿐 아무 것도 안나온다. 무엇보다도 생산성에 목표를 두자. 어차피 난 돈 받고 일하는 뮤지션과 거리가 멀고 생산한 물건을 누군가에게 팔기 위해 만드는 게 아니다. 일기 쓰는 거라 생각하면 된다. 일기를 남들 보다 잘 쓰면 자랑 정도 할 수 있는 거다 그렇게 생각하자. 어차피 보여줄 목적으로 만드는 게 아니라면 더 맘편히 할 수 있다 일기 쓰듯.
- 어떤 곡을 쓸 지 생각한다. 적어도 컨셉은 있어야 한다. 생각나는 대로 아무말 대잔치 해버리듯 하면 이게 습관이 된다. 적어도 목적을 두고 만들어 버릇 해야 한다.
- 곡의 구조를 정한다. 곡의 구조는 어차피 쉬운 구조로 계속 써나가다가 지루해지면 구조를 바꿔서 해보면 된다. 가장 쉬운 구조, 귀에 가장 익숙한 구조로 수천 곡 만들고 생각하자 어려운 구조.
- 구조를 짰으면 코드를 정해본다. 이것은 곡의 컨셉에 맞춰 간다. 이게 안되면 리프라도 하나 만들어야 한다.
- 곡 구조에 맞춰서 코드 흐름이나 리프 흐름을 변형해서 쓴다. 처음에는 조금 불편할텐데 이런 식으로 습관을 들이면 쓰기 쉬워진다.
- 나머지는 계속 다듬는 거다. 그림 그리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스케치하고 점점 자세한 윤곽을 그려내듯 하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