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10 sound

Featured image

누군가의 회로도를 무단으로 퍼왔다. 저작권을 들먹이기도 뭐한 것이 별 특이할 만한 게 없어서인데, 그림이 없으면 설명이 애매할 것 같고 그려넣기도 뭐해서 빌려왔다.

참고로 소스를 적어보면

https://dogemicrosystems.ca/mywiki/images/e/e6/Dual_AY-3-8910_circuit.png

회로도는 기본적으로 정리하면, 직렬 interface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그것을 병렬화해서 address/data로 만든 뒤에 각 8910으로 나눠주는 모양새다. chip의 datasheet를 보면 전압출력이라 실제 오디오 출력을 얻으려면 opamp를 하나 써서 볼륨 조정/buffer로 쓰라고 되어있는데, 이 회로르 보면 6개 채널 (칩당 3개씩)의 출력을 모두 하나에 node에 연결한 뒤에 LPF/DC filter를 하나 걸어서 내보내게 되어있다. 그냥 대충만든 회로라고 보면 되겠다. 어차피 음원 자체도 어설픈 음원이기 때문에 hifi 음원처럼 보호해야 할 의미는 없다고 보지만.

pin out을 보면 이게 단순히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용도뿐 아니라 parallel output port의 기능을 하고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핀이 제법 많이 있다. 실제로 쓰는 핀은 VCC/GND 말고 address/data/analog io (3) 밖에 없다. 그런 이유로 Yamaha의 replica에서는 parallel output을 위한 핀이 모두 제거되어있어서 대충 2x핀으로 줄어들어있다. (이걸 지금만든다고 하면 SPI(4)에 analog output 1핀, 전원 2핀 정도 하면 대충 8핀으로 정리될 것 같다만)

그러니까 요약하면 미디 인터페이스로 8910을 컨트롤하는 데이터 (Address + data)로 보내서 8910으로 시그널은 만들어내는 보드다. 기왕이면 그냥 USB로 하고 출력단에 버퍼를 이쁘게 달아놓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긴 하다.

evelope shape

8910 사운드를 그냥 정리해보면:

간단하게 만들어 본 샘플…

GuitarFxDSP · AY-3-8910 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