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하자는데 Jekyll 같은 거 알아야 되나?

Featured image

0

포탈에서 블로깅하는 사람들이라거나 블로그 전문 사이트에서 블로깅하면 이런 거 알 필요 없다 솔직히. 내가 봤을 때 그 중에선 사실 Tumblr 같은 데는 정말 서비스가 끝내주는 듯 한데, 한글 폰트가 들어가면 좀 애매해지는 특징 때문에 사실 좀 하다가 관뒀다. 물론 Wordpress 같은 거 많이들 쓰고 있는 거 안다. 나도 집에 설치도 해보고 Wordpress에 가입해서 좀 써보기도 했는데 역시나 이게 완전 자동은 아닌데 그렇다고 완전히 매뉴얼도 아니고 해서 때려치웠다.

그럼 난 어떻게 여기까지 왔느냐?

tistory 보내고 wordpress 보내고 tumblr 처럼 정신없는 곳 다 버렸다.

왜? github.io 도메인을 얻기 위해서. 그것도 공짜 호스팅에 블로그를 git으로 관리할 수도 있고 용량도 푸짐한 게 얼마나 좋냐. 물론 이게 얼마나 갈 거냐에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만.

github.io

github에 페이지를 열어버리려면 그냥 html을 하든가 Jekyll을 써야 한다. 그게 아니면 다른 방법이 없다.

Jekyll이 뭐냐고?

지킬박사와 하이드에서 가져온 이름이겠지 싶다. 그 정도로 재미있는(?) 기능이 있다 뭐 그런 뜻이리라 본다.

Jekyll은 ruby (ruby on rails)로 된 블로깅 툴이다. 쉽게 말해서 내가 yml이랑 md로 블로그 형식과 블로그를 기록해 놓으면 Jekyll이 알아서 이것들을 모두 html로 바꾼다. 무슨 말이냐면 내가 블로그를 갱신하면 그렇게 생긴 md를 Jekyll이 이미 정의된 형식으로 html로 바꾸는(컴파일 혹은 빌드라고 해도 된다) 거다. 웃긴 게 이렇게 해놓으면 검색도 된다. 사실 검색이 더 빠르게 된다. 이미 컴파일 단계에서 검색과 관련된 작업까지 미리 해놓으니까 그러하다.

요샌 html로 된 사이트가 많은 이유가 php라든가 asp라든가로 db를 access해서 html로 뿌리면 서버부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html로 그것들을 모두 미리 다 바꿔놓고 뿌리면 서버부하도 별로 없고 접속하는 이들도 빠르게 읽어볼 수 있으니까 좋은 거다. cdn까지 되어있는 경우면 더 말할 게 없다. 사실 asp나 php 같은 것들로 서비스하는 사이트를 cdn해버린다면 그것도 좀 웃긴 일이다.

Jekyll site를 쓰더라도 Jekyll을 잘 알아야 할 이유는 없다.

남들이 만들어놓은 theme 받아다가 적당히 쓰면 된다. github.io에 소개 페이지라든가 블로그 같은 걸 열면 git이 갱신될 때마다 github.io에서 알아서 Jekyll을 돌려준다. 따라서 내가 할 일은 새로은 md 파일을 반들거나 기존의 것을 변경한 뒤에 push하기만 하면 되는 거다. 여기서 문제는 내가 theme을 바꾸다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 때 본인 계정과 연계된 메일 주소로 에러가 났다는 것을 알려주는데, 사실 이 때 기술이 좀 필요하다. 정 알아내기 힘들다면 내 PC 위에 ruby와 Jekyll을 모두 설치해서 디버깅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좀 있다.

그래도 이게 어디냐! github.io라는 제법 쓸만한 도메인에 대충 70% 정도 메뉴얼로 설계할 수 있는 블로그를 꾸미는 거다. dbms 같은 거 설정하거나 php/asp 같은 거 프로그래밍 해야 할 이유도 없다. md 형식으로 되어있으면 나중에 책(으로 낼 확률은 없다고 볼 수 있지만)으로 publish하기도 좋고 보관하기도 크기가 작아서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