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 linux에서 package에 포함되지 않은 유틸 사용하기..

arch linux는 pacman 덕택에 참으로 쓸만한 OS라고 생각하고 즐겨 사용중이다. 내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linux는 arch linux가 기반을 이루고 있다.

솔직히 말하면 내가 여태 사용해본 linux 중에서 가장 편리하고 빠르고 좋은 점 투성이다. 단점을 찾으라고 하면 찾을 수도 있겠지만 좋은 점이 그에 비해 너무 많기 때문에 찾을 이유가 없다.

WSL에서도 일부러 arch linux를 썼을만큼 좋다. 덕택에 구하기 쉬운 리눅스인 ubuntu는 개나줘버려라는 생각을 할 정도다. manjaro가 나온 이후로는 설치까지 아주 편리해져서 ubuntu를 거들 떠 볼 일이 아예 없다.

누군가 스스로 만들어놓은 리눅스 랭킹에는 mint linux가 1위로 올라가 있는 것 같은데, 아마도 desktop GUI가 잘(?) 다듬어져서 그런 것이지 싶다.

desktop이 좋아서 linux를 쓰는 사람들도 많이 있겠지 싶은데, 난 거의 모든 linux의 desktop app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오직 cli 환경에서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얼마나 빠르고 깔끔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해내느냐만 중요하게 본다.

arch linux는 raspberry pi때문에 가까와졌고 그래서 오래 친하게 지내고 있는데, 정말로 여러 해 (raspberry pi 1/2/3/4) 전원을 꺼놓지 않고 동작시켜도 여태 원치 않은 문제를 만난 적이 없고 원치 않게 전원이 나가버리거나 (정전되는 경우가 왕왕있다) 하더라도 재부팅했을 때에 절망적인 상황을 맞이한 적도 없다. 자동화만 잘 시켜놓으면 정전을 맞이하더라도 예전처럼 회복되는 것에도 문제가 없고 흔한 파일 시스템 문제도 없었다.

alpine도 아주 가벼워서 좋긴 한데 package 관리자와 별로 친해지지 못하고 개개의 사용 방법이 애매해서 좀 쓰다가 말았다.

무슨 이유인지는 몰라도 alpine이 진짜로 대단히 가벼운 대신, 매우 가벼울 것 같은 arch linux는 alpine 만큼 가볍진 못하다. 아마도 kernel에서 이런 저런 드라이버들이 빠져있어서 그런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arch linux는 update가 대단히 빨라서 사용자가 맘만 먹으면 때에 따라 거의 매일 매일 이것 저것 업데이트가 가능한데 문제는 pacman으로 관리되는 package들만 그렇게 update가 될 뿐 AUR에 있는 package들을 가져다 손수 빌드해서 써야하는 경우에는 그렇지가 않기 때문에 아무 생각없이 업데이트 하다가 낭패를 보는 수가 있다.

무슨 말이냐면 AUR에서 가져다 설치한 package는 어차피 pacman으로 설치된 package에 dependency가 있기 때문에 pacman으로 update가 되었다면 여기에 맞춰서 같이 update해주어야 한다. 이것은 packman이 해주는 일이 아니라 (yayourt는 아직 테스트해보지 못했다) 이놈의 dependency 때문에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생긴다.

대개 daemon의 형태로 돌아가는 것은 시스템 업데이후에 그냥 log만 남겨놓고 죽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dependency 때문에 동작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지날 수가 있다.

이게 관리할 때 애를 먹이는 요소 중 하나다. 그래서 요주의 해야할 daemon/package가 있으면 cron으로 주기적으로 관리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