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사는 것과 영어를 하는 것...

서론을 길게 적었다가 모조리 지우고 본론부터 이야기하려 한다. 내가 한국에 살 때엔 미국에 가서 괴롭게 괴롭게 긴 시간을 보내면 영어는 마치 내 몸과 마음에 쌓이는 상처의 두께 만큼 하게 되는 것이겠구나 했다. 어린 아이가 뭔가를 배우듯하는 경험이 아니라 늙은 아이가 뭐라고 하려면 상처가 되어야 하게 되는 거란 거다. 그러니까 피치 못해서 영어를 잘 해야만 하는 상황에 어쩔 수 없이 계속해서 놓이게 되면 스스로 벽을 넘어서 어린 아이가 배운 영어와는 달리 완벽하진 못해도 어떻게든 술술 나오게 되는 것 이라고 생각했다. 누군가 편안한 상황에서 나에게 영어는 이렇게 해야한다 공부를 해서 얻어지는 게 아니라 짐에 가서 온몸의 고통쯤 감내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무거운 무게를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기거나 밀거나 하듯이 해야, 그래서 집에 와서 끙끙 앓기도 하고 해야 겨우겨우 얻어지는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어디에서 살고 있든 고된 운동을 하겠다면 언어(영어)의 근육이 붙고 내내 피하기만 하고 살면 영어의 바다속에 풍덩 빠져도 몸만 팅팅 불게 될 뿐 근본적인 차이는 없게 되는 거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런 사람들을 많이 봐왔고 나란 사람 역시 거의 마지못한 상황이 되어야 겨우겨우 말을 하는 그런 급(?)의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내가 봤을 때에도 사람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용기가 제법 있는 사람들이 아니면 본인이 아무리 영어에 애증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저 내내 ‘영어 못하는 사람’이 되고 마는 거다.

여기서 ‘용기’라는 것은 ‘엉터리 영어를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을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나보다 훨씬 영어에 더 많이 노출되고 영어의 바다에 오랫동안 빠져있던 사람들이라도 같이 지내보면 내가 듣기에도 한심한 영어를 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그래도 그 사람들은 그렇게라도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 것이고 나는 혹여라도 그렇게 실수(?)할까봐 입을 다물고 있는 거라고 볼 수 있다. 하물며 내가 보고 있는 사람들도 이렇게 상태가 한심한데 영어를 써야만 하는 수많은 비영어권 국가의 사람들은 어떨까? 영어권 국가라고 하더라도 아니 멀리 가지 않고 미국 안에서도 다들 개인별 차이가 있고 저마다의 사연이 있으니 굉장히 다양한 경우를 보게 된다.

한국 사람들과 의사 교환을 할 때에는 적어도 제주도 방언만 아니면 웬만한 한국어 방언들을 포함해서 별 것 아닌 대화를 하더라도 거의 모든 문장을 완벽하게 듣고 이해하지만, 미국인들 혹은 영어를 구사하는 비 네이티브들의 영어를 듣고 이해할 때는 이 비율이 확 떨어진다. 내가 처음 이런 상황을 맞이했을 때는 영어도 모국어와 마찬가지로 100%에 가까운 청해가 가능해야 ‘영어를 할 수 있다’라고 말하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자신이 영어를 제법 할 줄 안다는 사람들도, 또 그런 사람들끼리 모여서 대화할 때도 흘려듣거나 문맥으로 혹은 말에서 주는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서 이해하는 게 더 많다.

내가 들어온 영어를 기준으로 할 때 미국에서 나고 자란 제법 교육의 정도가 되는 사람들의 영어가 아니면 발음과 엑센트가 전혀 딴나라 스타일인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더구나 그것이 업계용어나 표준 학술 용어를 말하는 게 아닌 경우에는 정말 그 차이라는 게 어마어마하다. 차라리 느리게 말하더라도 또박 또박 발음하면서 표준어(?)를 사용하면 정말 해피할텐데 이상한 발음/엑센트로 중얼중얼하면 지옥이 따로 없다. 그런 상황에서 서로 의사소통이 되고 있는 걸 보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면 그 스트레스는 말로 못한다.

아주 쉬운 예로 ‘unlike’이란 뜻을 전달하고 싶은데 ‘dislike’를 ‘unlike’과 같은 뜻으로 알고 늘 말하는 사람 (그러나 아무도 교정해주지 않는)이 있다고 하자. 언뜻 보면 이런 실수(?)를 하는 사람이 있나 싶은데, 그런 사람들이 실제로 제법 된다. 이 사람은 이렇게 잘못 말하고 또 다른 사람들은 또 그렇게 저마다의 특징을 가지고 잘못 말하는 것을 알게 되는데, 사실 그게 약간 긴장된 분위기에서는 일부러 그렇게 말한 건지 잘못 말한 건지 분간이 잘 안될 때가 많다. 여기에 발음과 엑센트까지 개입하게 되면 정말로 피곤해진다. 영어에는 철자가 유사하더라도 발음상으로는 차이가 큰 단어들이 널려있어서 이런 모든 실수들을 다 감안해서 듣지 않으면 비문처럼 들리는 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그런데 이게 일상이다. 아니 일상이 되어야 뭔가 더 넓은(?) 세상을 배울 수 있는 거다. 그러니까 핀란드에 가서 인도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끼어있는 자리에서 이야기할 수 있어야 되고, 아프리카에서 나고 자라다가 프랑스에 와서 공부한 사람도 같은 자리에 있을 수 있는 거다. 러시아쪽에서 태어나서 자라다가 핀란드에 온 사람이 합석할 수도 있고. 그 사람들이 모두 파리에서 어딜 가야 좋은지를 얘기할 수도 있다. 같은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특정 지명을 이야기해도 그게 어떤 철자로 되어있는지 알기 힘든 마당에 그런 사람들이 한꺼번에 모여서 이야기하면 누가 어느 곳을 지목해서 이야기하는지 알아들으려면 거의 죽을 힘을 다 해야 한다. 그래도 그 모든 사람들이 한 회의실에 모여있는 상황에서 어려운 문제를 논의할 수 있어야 하는 거다. 차라리 미국식 영어에 가까운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면 상황은 그나마 해피하다고 해야할 것 같다. 그러나 나 역시 내가 인지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영어 구사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나 역시 만만한 상대가 아님은 인정해야 한다.

모르겠다. 나는 AI가 고도로 발전해서 세계 모든 사람의 의사교환이 영어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비효율/비합리적 방식이 아닌 실질적이고도 효율적인 방법이 되었으면 한다. 이 문제만 해결되어도 영어 때문에 전세계 사람들이 골머리를 썩지 않고 자신감 있게 개개인의 능력을 글로벌하게 펼쳐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놓고 보면 역시나 인구가 많은 곳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살아가는 이들이 더더욱 유리할 거라 본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나 할까, 경쟁 자체가 일상인, 그러나 비영어권 국가의 사람들이라 엄청난 핸디캡을 받고있는, 한중일의 사람들이 더 가슴펴고 살 수 있는 세상이 될 거라고 하면 욕을 먹을지는 몰라도 나는 그렇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