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불짜리 전기차를 팔고 3만불짜리 개솔린 차를 새로 구입해서 몰게 된다면...

뭐 계산해보나마나 3만불짜리 개솔린 차를 새로 구입해서 타도 장기적으로 개솔린 차가 이득이다.

왜?

그런데 이미 구입한 5만불짜리 차를 팔면 운용기간동안 감가가 일어났을테니 보나마나 싸게 팔아야 되고 새것을 구입하기 위한 활동을 해야 하니까 여기에 추가적인 비용이 붙는다고 생각해야 한다. 내가 계산해 본 바 현재 가치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5년간 약 2만불의 차이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차이는 보험료에서 발생한다. 만일 기존 차량을 처분하게 되면 가치 하락에 의한 손실이 그대로 현실화되므로 이 차이는 만불로 좁혀진다. 이미 구입했다면 어쩔 수 없이 몰고 다닐 수 밖에 없다.

결론: 전기차에 대한 보험비용, 차량가격이 싸지지 않는 이상엔 전기차가 아무리 에너지 절감 어쩌고 해도 개솔린 차를 당할 수가 없다. 전기차는 어지간한 사고에도 배터리가 다치게 되면 폐차상황이 되니까 가격이 이렇게 책정이 된 거지 싶다. 그냥 전기차가 갖는 빠른 가속 성능 때문에 많은 지출을 하고 충전의 번거로움을 견디며 타는 거다. 여러 가지 편의 기능 따위 없어도 잘 살았고 앞으로도 잘 살 거다. 뭐 그런 거 쫌 없어서 사고 나더라도 개솔린 차량은 수리비용이 전기차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낮은 보험료로 쉽게 커버가 가능하다. Tax credit 이런 거 받아봐야 차량 가격이 낮아지는 게 아니라 차는 제값주고 사고 나중에 일부를 돌려받는 거라 차량 가격 때문에 메겨지는 보험료와 등록비로 혜택을 보진 못한다. 이건 보유하는 동안 계속 따라다니는 거라 굉장히 짜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