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s amplifier에 대하여

갑자기 궁금증이 생겨서 bass로 유명한 모델 몇 가지의 회로를 열어보았다.

진공관으로 된 것 몇 가지 (ampeg, fender)를 빼면 나머지는 OPAMP로 된 active EQ preamp이고 대출력이 필요한 것들은 class D power amp를 쓴 것이 대부분이었다. 사실 class D는 파워앰프의 대세가 되었으니 더 말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특히나 스피커를 잘 드라이브 해야되니 예전의 class AB보다 훨씬 더 좋은 소리가 날 것으로 본다.

앰프를 모델링 하는 입장에서는 파워앰프는 특별히 distortion이 없다고 하면 별로 들여다봐야 할 게 없고 preamp를 유심히 보게 되는데, 그것이 opamp로 구성되었다고 하면 간단히 filter response를 구하고 그것을 그대로 digital domain으로 옮기기만 하면 된다. 그 근사 방법은 잘 알려진 bilinear transform이라고 하는 방법을 쓰는데, 대부분의 디지털 앰프 모델링은 이 방법 없이는 할 수가 없다. 그만큼이나 유용하고 편리한 방법이다.

진공관으로 된 것은 사실상 일반적인 기타 앰프와 같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인데 특정 모델의 EQ 특성이나 노브 반응을 그대로 옮기기 위해서 모델링을 하는 것이지 그 외의 이유는 없어보인다. TR(=opamp)로 된 것은 Gallien Krueger와 Hartke의 유명 모델을 보았는데, active EQ가 있는 것 말고 특이점이라면 Harke의 앰프에는 컴프레서가 기본 포함되어있는 것과 그래픽 EQ가 있는 것이었다.

사실 DAW를 사용하면 이것들은 다 낱개의 plugin으로 되어있으니 별도로 모델하고 말고의 필요가 없다. Graphic EQ가 되었든 뭐가 되었든 품질이나 성능, 자유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꼭 이러한 앰프가 아니면 안된다는 것을 빼면 그냥 EQ + compressor + EQ의 조합일 뿐이다. overtone에 의한 별도의 harmonics를 얻고 싶다면 overdrive나 distortion effect를 삽입해주면 된다.

결국 요약하면,

어떤 사람들을 보니 기타 앰프로 주로 사용하는 1959SLP를 베이스 앰프로 쓰는 경우도 있는 듯 하다. 그러니까 베이스 기타 주자들이 주로쓰는 베이스 캐비넷에만 연결하면 무슨 앰프든 된다고 하는 듯하고, 기타 앰프의 소리를 죽인다 라고 하는 것으로 봐서 이 사람들도 딱히 베이스 앰프라고 해서 어떤 정해진 틀의 앰프를 좋아한다기 보단 그냥 듣기에 좋으면 무슨 앰프든 무방하단 것이다.

흔히 기타 앰프에 베이스 기타를 연결하면 뭔가 망가진다 어쩐다 하는 것 같은데, 그것은 말도 안되는 이야기이고 기타가 되는데 베이스는 안된다는 것은 정말 웃긴 이야기이다. 또 베이스 기타 주자들이 기타 앰프에 연결해서 쳤더니 소리가 죽인다 하는 것으로 봐서는 사실 아무 생각이 없는 것이다. 무슨 뜻이냐면 베이스 기타 앰프라고 해서 특별히 저음이 더 좋아야 된다 혹은 하이을 더 살려주어야 한다 이런 의미 조차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기타앰프의 경우는 저음을 많이 덜어내지 않으면 찌그러질 때 소리가 좋지 않으니까 애초에 많이 덜어내도록 되어있다. 베이스 기타라고 하면 여기서 많은 부분이 깎여 나갈텐데 그래도 좋다고 하는 걸 보면 말이다.

또 베이스 케비넷이라고 해서 저음을 특별히 잘 나게 하는 어떤 filter network이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고 10인치 혹은 15인치 등의 풀레인지 스피커 (풀레인지라고 해봐야 음역대는 10kHz 이후는 전무하다고 봐야한다)를 그냥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한 것 뿐이다. 1방 혹은 2/4방이 하나의 캐비넷에 들어있을 뿐. 대개 유명한 기타 스피커 유닛들이 12인치로 나오는 것을 보면 기타 케비넷을 베이스 기타 용으로 사용하지 말란/못하란 법도 없는 것이다. 12인치면 저음을 10인치보다 더 잘 살려낼 수 있을 뿐인데, 그 음색이란 게 특정 메이커의 베이스 캐비넷 음색에 길들여진 사람 입장에선 약간 생소한 것 뿐인 것이다.

여기서 또 결론 내면,

대충 검색해보면 기타 앰프용 스피커 유닛은 60W 정도의 파워를 핸들링하는 반면 베이스용 유닛들은 구경이 10인치 밖에 안되도 40Hz 근방의 저음도 받아내고 200W 정도의 파워도 핸들링할 수 있다고 되어있다. 이것을 다시 해석해보면 10인치 드라이버로 40Hz 정도나 되는 저음을 내기위해서 일부러 전체적인 스피커의 효율을 떨어뜨린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같은 전력이 주어져도 실제로 출력이 미미한 대신 저음 출력을 안정적으로 만들어놓은 것이라고 봐야할 것 같은데 5현 베이스에서 가장 낮은 음이 B2가 되니까 대략 123 Hz가 정도를 받아낼 수 있는 스피커면 무리가 없지 싶다.

이 정도도 일반적인 기타 앰프 유닛들이 다 받을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이 되긴 하지만, 기타 프리앰프에서는 제법 깎여나가는 영역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