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ght Control과 master volume control을 모두 고려한 Tone stack

혼자서 수식 유도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 올린다. 여기서 R2, R3는 bass, middle을 위한 볼륨에 해당하고 c5가 bright control을 위한 120pF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v는 master volume의 양을 의미한다. t는 treble의 양이다....


Presence와 Master Volume이 달린 Tone stack의 Digitization..

이 내용 하나로도 듣보잡 학회에 낼 수 있는 논문이 되는 모양이다. 서론 붙이고 그래프 몇 개 넣고 결론을 쓰면 2 컬럼 4페이지 짜리 논문 만드는 것은 논문 제조기들에게는 매우 쉬운...

This is 40..so what?

This is 40라는 영화를 누군가 권하길래 시차적응도 안되고 해서 새벽녘에 봤다. 빠짐없이. 코미디 영화인데 웃기진 않는다. 그렇다고 감동적이지도 않고. 영화를 보고 나서 계속해서 이 영화가 나에게 주려하는 메시지가 뭘까? 내가...


진공관 프리앰프 vs. AmpSim Plugin

여태 만들다가 내동댕이 친 것을 주말 중 1일을 투자해서 손을 봤다. 말도 안되는 실수가 숨어있는데 그동안 모르고 있었다니. 귀가 참으로 둔하단 사실을 깨닫았다. 일단 실험으로 Rectifier module을 얹고 프리앰프와 앰프...

변색렌즈 사용기

썬글라스가 있으면 좋은데 도수를 넣어야 하니 귀찮고, 또 눈이 부실 때 마다 갈아끼우기도 귀찮으면 생각하게 되는 게 변색렌즈다. 즉 실외에서는 선글라스처럼 되고 실내에 들어오면 일반 안경처럼 되는 것이다. 트렌지션스렌즈라고 해서...

Toontrack EZMix

이것을 여태의 Toontrack의 제품들에 비해 상당히 가벼운데, 내부를 열어보지 않아서 확신은 못하겠으나 일종의 멀티이펙트이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앰프 시뮬도 포함하고 있고, 이 플러긴 하나면 기타부터 베이스 앰프 시뮬레이션 뿐 아니라...

오랜만에 앰플 시뮬 플러긴 작업

이제 휴가 가기 이틀전이고 그동안 좀 바쁜 편이었는데, 어젠 모처럼 앰프 시뮬 플러긴에 손을 좀 대봤다. 그동안은 sigmoid function을 이래 저래 변형한 간단한 비선형 function을 썼다. bias voltage며 gain 등등...

나도 헛물키지 말고, 항상 기뻐하련다.

톨스토이의 글을 옮겨본다. 불펌해도 상관 없겠지. 물레방아는 가루를 잘 빻기 위해서 필요하다. 인생은 삶을 훌륭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다. 만일 사람이 남이 사는 것을 모르고, 쾌락이 만족을 주는 일이...

마이킹한다고 쑈를 해보니..

아 이거 여러가지로 그다지 재미가 없다. 소소한 실험이라 집에서 이것 저것 해보겠구나 했는데 결과로 나오는 톤이 별로라 이상스리 재미가 없고 의욕이 없네. 정말 소박한 꿈이 아니었나 싶다. 집에서 1x12 캐비넷을...

소소한 실험...(3) 실험 1..

간단한 리프 하날 이용해서 톤을 테스트하기로 한다. 소소한 실험이지만 이거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라. 트래킹하랴 마이킹하랴 바이앰핑하랴. 역시 Axe Fx나 Kemper에 들이는 돈이 프로뮤지션 입장에서는 아까운 돈이 아니다. 그 정도로...